주제 | 언어, 문학, 매체 문화의 구조와 상징들 |
일시 | 2020년 10월 23일(금) 13:30 – 18:30 |
장소 | 국립목포대학교 인문대학 157호실 외 3실 |
13:30-14:00 등 록
14:00-14:20 개회식 김 경 (부산대, 한국독일언어문학회 총무)
개회사 이혜자 (군산대, 한국독일언어문학회 회장)
환영사 박민서 (목포대 총장)
■ 분과별 Zoom ID
시간 | 행사 | Zoom회의 ID |
개회사/축사14:00~14:15 | 개회사: 이혜자 (회장)축사: 박민서 (목포대 총장) | Zoom 회의 참가 (1분과와 동일함)https://us02web.zoom.us/j/89639667870?pwd=MUJFTlY4bzhRazk1MUJwVXNWcXNsZz09회의 ID: 896 3966 7870 비번: 946138 |
분과 발표14:30~18:00 | 제1분과: 독일 언어 | Zoom 회의 참가 (1분과)https://us02web.zoom.us/j/89639667870?pwd=MUJFTlY4bzhRazk1MUJwVXNWcXNsZz09회의 ID: 896 3966 7870 비번: 946138 |
제2분과: 독일 문학 | Zoom 회의 참가 (2분과)https://us02web.zoom.us/j/86804367839?pwd=NkViWU1QempuRE9oRnZtWkNDLzFaUT09회의 ID: 868 0436 7839 비번: 393468 | |
제3분과: 독일 문화 | Zoom 회의 참가 (3분과)https://zoom.us/j/95466219980?pwd=V1hMdVhtS2lJZ2k1TnNzQnZvSW4wZz09회의 ID: 954 6621 9980 비번: 9Qt2MC | |
제4분과: 학문후속세대 | Zoom 회의 참가 (4분과)https://zoom.us/j/99441410498?pwd=TjRPYjQ1d0hWTzNBWFFCL2N4bWVHZz09회의 ID: 994 4141 0498 비번: 4Csh9b | |
학술상 시상식 및 폐회 | 연구윤리교육학술상 시상식폐회식 | Zoom 회의 참가 (1분과와 동일함)https://us02web.zoom.us/j/89639667870?pwd=MUJFTlY4bzhRazk1MUJwVXNWcXNsZz09회의 ID: 896 3966 7870 비번: 946138 |
■ 분과별 프로그램
[분과 1] 언어의 기호성과 문화 사회: 장영익 (창원대)
14:30-15:20 | 주제 | 우리가 알지 못하는 한반도 냉전체제 이야기– 독일 정치문서고 기밀해제문건을 중심으로 | |
발표 | 성상환 (서울대) | 토론 | 이헌경 (동아대) |
15:30-16:20 | 주제 | 7일 1주 탄생의 인류문화사적 접근 | |
발표 | 김형민 (서강대) | 토론 | 오장근 (목포대) |
16:30-17:20 | 주제 | 광고어와 문화특이성 – 광고어 번역과 커뮤니케이션 문제를 중심으로 | |
발표 | 백영숙 (본 대학교) | 토론 | 이도영 (한국외대) |
[분과 2] 언어예술로서의 문학과 상징들 사회: 김경희 (홍익대)
14:30-15:20 | 주제 | 로버트 발저의 동화극과 (반)연극성 | |
발표 | 안미현 (목포대) | 토론 | 진숙영 (홍익대) |
15:30-16:20 | 주제 | 쾨페닉의『대위』에 나타난 인간과 인간들의 질서에 대한 비판적 고찰 | |
발표 | 김화임 (전북대) | 토론 | 신동도 (한양대) |
16:30-17:20 | 주제 | 에른스트 윙어의 소설『유리벌』연구 | |
발표 | 최동민 (전남대) | 토론 | 박현정 (충북대) |
[분과 3] 매체 문화 속의 상징들 사회: 이군호 (충남대)
14:30-15:20 | 주제 | 영화 <쿨레 밤페>에 나타난 자연 상징 고찰 | |
발표 | 이호성 (성균관대) | 토론 | 양시내 (서울대) |
15:30-16:20 | 주제 | 게임의 공간 스토리텔링 | |
발표 | 김요한 (영남대) | 토론 | 김겸섭 (경상대) |
16:30-17:20 | 주제 | 쇼핑공간의 이미지 성찰을 위한 다큐멘터리 전략 – 하룬 파로키의 <쇼핑세계의 창조자들>을 중심으로 | |
발표 | 임유영 (충남대) | 토론 | 이광복 (목포대) |
[분과 4] 학문후속 세대와 독문학의 미래 사회: 이시내 (서울대)
14:30-15:20 | 주제 | 칼 필립 모리츠의『안톤 라이저』에 나타난 자기관찰의 표현형식 고찰 | |
발표 | 박은정 (한국외대 석사과정) | 토론/지도 | 이영기 (중앙대) |
15:30-16:20 | 주제 | 하이너 뮐러의 <그림쓰기>에 나타난 악의 생산성 | |
발표 | 김경랑 (한국외대 박사과정) | 토론/지도 | 함수옥 (충남대) |
○ 연구윤리교육
17:30-17:50 | 주제 | 연구윤리 위반사례 및 그 시사점 |
발표 | 장희권 (연구윤리위원장) |
17:50-18:10 [시상식] 한국독일언어문학회 ‘학술상’ 시상식
[시상식/총회] 한국독일어문학회 ‘올해의 논문상’ 시상식과 총회
18:10-18:30 [폐회식] 김요한 (영남대, 한국독일어문학회 총무)
[폐회사] 신용민 (경상대, 한국독일어문학회 회장)